필름 디렉터즈 인싸이클로피디아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필름 디렉터즈 인싸이클로피디아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87)
    • 미국인디 (14)
    • 1970년대 (27)
      • 70' 패닉무비 (4)
      • 블랙스플로테이션 (0)
    • 브리티쉬 (136)
      • 80년대 CF4인방 (4)
      • 포스트앵그리영맨 (4)
      • 앵그리영맨 (4)
      • 007 메이커 (5)
      • 80' 르네상스 (3)
      • 아일랜드 (8)
      • 여성감독 (13)
    • 여성감독 (61)
      • 영화인 2세 (12)
    • 라틴 아메리카 (37)
      • 칠레 (4)
      • 멕시코 (12)
      • 브라질 (9)
      • 아르헨티나 (5)
      • 페루 (2)
      • 콜럼비아 (1)
      • 쿠바 (2)
    • TV 연출가 (8)
    • 촬영감독출신 (9)
      • 유럽출신 (5)
    • 코미디 (28)
      • ZAZ 사단 (5)
    • 호러작가 (12)
      • 스플랫 팩 (3)
    • 중화권 (73)
      • 중국 (9)
      • 대만 (16)
      • 홍콩 (17)
      • 홍콩 뉴웨이브 (7)
      • 홍콩 세컨드 웨이브 (5)
      • 중국 제5세대 (7)
      • 중국 제6세대 (9)
      • 중국 제4세대 (2)
      • 중국 제3세대 (1)
    • 오세아니아 (37)
      • 호주 (26)
      • 뉴질랜드 (11)
    • CF,뮤직비디오 (21)
      • 1990 (4)
      • 2000 (9)
      • 프로파간다 (7)
    • 그리스 (4)
    • 각본가출신 (21)
    • 오스트리아 (4)
    • 선댄스키드 (16)
      • 1990 (14)
      • 2000 (2)
    • 마에스트로 (7)
    • 안무가 출신 (9)
    • 스페인 (29)
    • 배우출신 (47)
      • 여배우 (11)
      • 헐리우드 스타 (22)
    • 클래식 (27)
      • 50' 헐리우드메이저 (6)
    • 프랑스 (151)
      • 포스트 시네마 뒤 룩 (13)
      • 뤽 베송 사단 (7)
      • 누벨바그 (6)
      • 여성감독 (26)
      • IDHEC 學派 (7)
      • Poetic Realism (2)
      • 시네마 뒤 룩 (0)
    • 블랙파워 (6)
    • 이탈리아 (43)
      • 네오 리얼리즘 (4)
      • 포스트 네오리얼리즘 (7)
      • 스파게티 호러 (3)
      • 마카로니 웨스턴 (5)
      • 3rd Wave (7)
    • 애니메이션 (16)
    • 무비브랫 G (8)
    • 북유럽 (33)
      • 스웨덴 (15)
      • 핀란드 (1)
      • 덴마크 (11)
      • 노르웨이 (6)
    • 독일 (40)
      • 뉴 저먼 시네마 (6)
      • 뉴 제네레이션 (20)
    • 동남아시아 (7)
      • 베트남 (4)
      • 태국 (2)
    • 동유럽 (49)
      • 루마니아 (6)
      • 폴란드 (10)
      • 러시아 (11)
      • 헝가리 (7)
      • 체코 (8)
      • 구 유고연방 (4)
    • 아시아 (17)
      • 이란 (8)
      • 이스라엘 (4)
      • 인도 (4)
      • 터키 (1)
    • 로저 코만 사단 (5)
    • 일본 (30)
      • 재페니메이션 (10)
    • B급 무비 (20)
    • 아프리카 (4)
      • 남아공화국 (4)
    • 다큐멘터리 (4)
    • 프로듀서 (3)
    • 서유럽 (4)
      • 포르투갈 (4)
    • 캐나디언 (37)
      • 여성감독 (12)
    • 베네룩스 3국 (14)
      • 벨기에 (8)
      • 네델란드 (5)
      • 룩셈부르크 (1)
    • 스위스 (1)
    • Dossier (3)
    • 21C 아메리카 뉴디렉터 (18)
    • 1980년대 (11)
    • 1990년대 (0)

검색 레이어

필름 디렉터즈 인싸이클로피디아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 마르코 페레리 Marco Ferreri

    2011.05.12 by 켄2

  • 에르마노 올미 Ermanno Olmi

    2008.10.19 by 켄2

  • 프란체스코 로지 Francesco Rosi

    2008.10.18 by 켄2

  • 질로 폰테코르보 Gillo Pontecorvo

    2008.10.18 by 켄2

  •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Pier Paolo Pasolini

    2008.09.28 by 켄2

  • 마르코 벨로치오 Marco Bellocchio

    2008.06.06 by 켄2

  • 베르나르도 베르툴루치 Bernardo Bertolucci

    2008.03.26 by 켄2

마르코 페레리 Marco Ferreri

60년대 이태리 영화계의 전성기에 등장한 일련의 신인 감독중 파졸리니와 더불어 가장 많은 논란을 일으킨 이단아 마르코 페레리는 1928년 이태리 밀라노에서 태어났다. 스페인계 밀라노인 이었던 그는 광고 프로덕션에서 기초를 닦은 후, 스페인 영화계에서 영화경력을 시작했으며 1963년 이태리 영화계 입문작인 [여왕벌 L'ape regina]을 발표하고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같은 스페인계 작가인 라파엘 아츠코나와의 공동 작업을 통해 강박증, 모럴이 배제된 성적 표현과 죽음등 파괴적이고 외설적인 요소들과 사회비판적 은유를 담은 일련의 작품을 내놓으며 유럽영화계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 하지만 논란과 스캔들로 점철된 작품활동속에서도 1969년 발표한 그의작품 [딜린저는 죽었다 Dillinger è ..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2011. 5. 12. 00:33

에르마노 올미 Ermanno Olmi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의 정신을 계승한, 네오레알리스모의 적자로 평가받는 1931년 이태리 베르가모출생의 올미는 밀라노의 드라마학교를 졸업하고 1953년부터 단편 영화와 다큐필름을 연출하며 착실히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1959년 다큐멘터리 스타일의 극영화 [시간은 아직도 멈춰있다 Tempo si è fermato, Il]로 데뷔하였으며 1961년 연출한 두번째 장편 [일 포스토 Posto, Il]로 베니스 영화제 이탈리아 영화 비평가 상을 수상하며 주목을 받았다. 영화 [일 포스토] 이후, 노동계급 내부의 개인에 대하여 민감하고 집요한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그는 시칠리아의 한 공장 노동자에게 촛점을 맞춘 [약혼녀 Fidanzati, I (63)]라는 작품으로 깐느 영화제에 자신의 존재를 알렸고 1978년..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2008. 10. 19. 01:04

프란체스코 로지 Francesco Rosi

1922년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나폴리출생으로 이탈리아 최초의 공산당원 출신 대통령인 11대 대통령 조르조 나폴리타노의 절친한 친구이기도한 프란체스코 로지는 나폴리 대학에서 법률을 전공했으며 1948년 루키노 비스콘티작 [흔들리는 대지]의 조감독으로 영화계에 입문하였다. 1958년 [도전 Sfida, La]으로 장편 데뷔하며 루이말 감독의 [연인들]과 공동으로 베니스 영화제 특별 심사위원상을 수상한 로지는 이후, 자신의 거의 모든 작품에 정치적 메세지를 담아 냈으며 1961년 실존했던 시실리안의 영웅 살바토레 줄리아노의 일대기를 담은 전기영화 [살바토레 줄리아노 Salvatore Giuliano]를 연출했다. 자신의 세번째 장편인 [살바토레 줄리아노]로 1962년 베를린 영화제 감독상인 은곰상을 수상하며 ..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2008. 10. 18. 21:43

질로 폰테코르보 Gillo Pontecorvo

1919년 이탈리아 투스카니 피사출생으로 본명은 Gilberto Pontecorvo이다. 마르크시스트 경향의 작품으로 늘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던 폰테코르보는 피사시립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했으며 1941년 이탈리아 공산당에 가입하여 1943년부터 1945년 까지 반 파시스트 진영의 레지스탕스로 파시스트와 투쟁했다. 종전 후, 프랑스 파리에서 신문사로 리포터로 활동하던 중 로베르토 롯세리니의 [무방비 도시]를 보고 영화계에 투신할것을 결심하였으며 1951년 프랑스 감독 이브 알레그레의 조감독으로 프랑스 영화계에 입문한 뒤, 다큐필름과 단편 영화 연출을 시작했다. 1956년 공산당을 탈퇴한 폰테코르보는 1959년 자신의 정치적 성향에 대한 뜨거운 논란을 불러온 전쟁 드라마 [카포 Kapò]를 통하여 공식적으로 ..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2008. 10. 18. 19:34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Pier Paolo Pasolini

1922년 이태리 볼로냐 출생의 파졸리니는 이태리가 낳은 현대영화의 기린아로 시인이자, 철학가이며 혁신적인 언론인이자 화가였다. 그는 독특하고 특출난 재능으로 자신의 문화적 다능을 입증한 인물로 전통적으로 좌파성향이 강한 도시 볼로냐에서 장교인 아버지와 초등학교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그의 아버지 카를로 알베르토는 뭇솔리니의 목숨을 구한 일화로 유명해진 파시스트였다. 7세때 부터 시를 쓰기 시작한 파졸리니는 1939년 볼로냐대학의 문학대학으로 입학하였으며 1941년 자신의 첫 시집을 발간하였다. 이후 소설과 에세이 그리고 시나리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맷의 문학작품을 발표한 파졸리니는 1955년 시나리오 작가로 이태리 영화계에 입문하였으며 1960년 배우로 데뷔한 후, 1961년 자신의 첫 장..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2008. 9. 28. 10:43

마르코 벨로치오 Marco Bellocchio

1939년 이태리 피아첸자 출생으로 밀라노에서 철학을 전공하던 벨로치오는 돌연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하고 학교를 중퇴한후, 로마의 영화학교에 입학 , 연기와 연출을 전공한뒤 다시 영국 런던으로 건너가 현대미술을 전공했다. 런던에서 귀국한 벨로치오는 몇편의 단편영화를 연출하고 1965년 [포켓속의 주먹 Pugni in tasca, I]이라는 장편으로 데뷔하였으며 그의 데뷔작은 같은 해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베르톨루치의 [혁명전야 (64)]와 함께 이탈리아 시네마의 새로운 영역을 확보한 작품으로 평가 받으며 이탈리아 영화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967년 이태리 정치계에대한 신랄한 풍자를 담은, 자신의 두번째 영화 [중국은 가깝다 La Cina è vicina]로 베니스 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2008. 6. 6. 22:32

베르나르도 베르툴루치 Bernardo Bertolucci

1940년 이태리 파르마 출생으로 이태리의 유명한 시인이자 작가인 아틸리오 베르톨루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작가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15세부터 글을 쓰기 시작한 그는 로마 대학으로 지낙하여 현대문학을 전공했으며 10대시절 이미 이태리의 유명한 문학상인 Premio Viareggio상을 비롯한 여러 개의 트로피를 수상했다. 하지만 작가로서 아버지의 명성을 극복하지 못할것이라는 자괴감에 빠진 베르톨루치는 아버지의 친구였던 이태리의 거장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의 1961년작[아카토네]의 조감독으로 고용되며 영화쪽으로 발길을 돌린다. 1962년 미스테리 극 [죽음의 신 La commare secca]으로 데뷔한 베르톨루치는 1964년 [혁명전야 Prima della rivoluzione]을 발표하고 비평가들..

이탈리아/포스트 네오리얼리즘 2008. 3. 26. 14:12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필름 디렉터즈 인싸이클로피디아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